본문 바로가기
시사

시진핑 주석 방한 결정이 가지는 의미. 중국의 시점

by 요약남 2020. 8. 23.
반응형

8월 22일 중국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과 서훈 국가안보실장의 회담이 부산에서 열렸다.

 

청와대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이 수그러드는 대로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양국이 합의했다고 한다.

최근 가장 민감할 수 있는 주제 '현재 진행중인 중국과 미국의 분쟁'에 대해서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중국과 미국의 공동 번영과 우호적 협력이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위한 핵심'이라고 했다

 

회담을 두고 중국의 관영매체인 신화통신은 시주석의 방한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 날 양국이 더 높은 수준의 교류를 약속했다고 전하며,

양제츠 위원은 이날 양국의 전략적 의사 소통경제적 연대가 더 발전하고

양국의 파트너십이 더 높은 수준에 이르길 바란다고 했다.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 Cheng Xiaohe는 

"한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어있는 연약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드 배치 이후 중국과 한국의 외교적 관계가 상당히 많이 회복된 것을 보여준 회담이었다."

"미 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두 국가 사이의 균형을 깨는 것이 한국에게는 큰 외교적 부담일 것이다."

"한국은 미국이 지역 안보를 지켜주기를 바라기 때문에 (친 중국적인) 외교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한국이 중립적인 스텐스를 취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최근 이렇다 할 외교적 성과가 없는 중국으로서도 이번 회담은 명백히 주목할만한 사건이다."

라고 말하며 미-중 사이에서 한국이 취한 중립적인 자세와 코로나 바이러스 대응에 있어 양국의 협조가

시주석의 방한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랴오닝 아카데미의 한국 전문가 Lu Chao는 양제츠의 방문이 상당히 중요한 시점에 이뤄졌다고 말한다.

"코로나가 좀 안정이 되면 시진핑 주석은 필히 한국을 방문해야 한다. 코로나 이후 시진핑 주석이 첫 번째로 방문할 나라로 한국을 선택했다는 것은 한국이 중국 외교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의미이다."

"무역 분쟁을 비롯한 많은 충돌을 겪으며 악화되는 미국과의 관계속에서 한국과 안정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모든 관점에서 중국에게 중요하다(필수적이다).

"중국은 동북아 지역의 안보를 지키고 북한의 비핵화 노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