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수2

중1 수학: 소인수분해와 소인수분해방법 우리는 소인수분해와 소인수분해 방법을 알기 위해 앞서 소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소인수분해라는 용어의 뜻이 선뜻 이해하기 힘들 수 있겠는데요. 소인수란 무엇이며 소인수분해는 또 무슨 뜻일까요? ◈ 소인수분해란? 소인수는 '소수인 인수'라는 뜻이며 여기서 '인수'는 원인이 되는 수, 즉 약수와 같은 뜻입니다. 따라서 소인수는 '소수인 약수'와 동의어입니다. 그래서 소인수분해는 어떤 자연수를 '소수인 약수', 그러니까 소인수로 잘게 분해하여 소수로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소인수분해 방법 예를 들어 이해를 돕도록 하겠습니다. 자연수 24를 '소인수분해'를 해서 소수로 표현하면, 24 = 2×2×2×3 이 됩니다. 64를 소인수분해 하면, 64 = 2×2×2×2×2×2 가 됩니다. 그리고 56, 22, .. 2020. 12. 31.
중1 수학: 소수, 합성수.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인 자연수 ◈ 소수란? 수학에서 '소수'라고 불리는 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0.123 같이 소수점이 있는 수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볼,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눌 수 있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부릅니다. ◈ 소수는 약수와 관련이 있다 소수와 합성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초등학교에서 배운 '약수와 배수' 내용을 먼저 떠올려 보겠습니다. 우리는, 만약 a라는 자연수를 b라는 자연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되었다면, b는 a의 약수이며 a는 b의 배수라고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 10 = 2 x 5이기 때문에 1, 2, 5 그리고 10이 10의 약수이며, 10은 1, 2 , 5, 10 모두의 배수가 됩니다. ◈ 소수와 합성수 위에서 예시로 살펴본 자연수 10은 1, 2, 5, 10 이라는 네.. 2020.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