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8

“미국주식, 지금 팔아야 할까?” 제이미 다이먼의 경고 “미국주식, 지금 팔아야 할까?” 제이미 다이먼의 경고요즘 미국주식 시장, 주가가 반등하고 나스닥도 회복세인데, 한 가지 찜찜한 기사가 눈에 띄었습니다. 바로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의 관세로 인한 미 증시에 대한 경고입니다. 그는 "현재 시장은 지나치게 안일하고, 관세의 진짜 충격은 아직 시작도 안 했다"라고 말했습니다.게다가 미국 주식시장이 10% 가까이 조정을 받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의 발언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5가지와, 그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미국주식 시장의 흐름을 정리해 봤습니다. 1. 관세 충격은 ‘진행 중’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부분의 국제 무역 파트너에게 고율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후 90일 유예 발표로 시장은 반등했지만, 그 유.. 2025. 5. 21.
공장은 돌아왔는데, 사람이 없다면? 미국주식의 향방은? 공장은 돌아왔는데, 사람이 없다면? 미국주식의 향방은?-미국주식 투자자라면 꼭 주목해야 할 노동 시장의 현실- 최근 월스트리트 저널에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습니다.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제조업을 되살리겠다며 보복관세 전략을 펼치고 있지만, 정작 공장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는 현실이 드러났다는 내용입니다.그의 정책에 따라 일부 공장들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고, 주문도 늘고 있지만, 고된 업무 환경, 낮은 임금, 그리고 젊은 세대의 직업 기피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력 충원이 어려운 실정이라는 겁니다. 이런 흐름은 단순한 노동 이슈를 넘어서, 미국 경제 구조와 미국주식 시장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신호라고 생각하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공장의 내부 사정 – 오하이오의.. 2025. 5. 20.
인플레이션 공포가 몰고 온 미국 주식 시장의 그늘 소비자 심리, 다시 얼어붙다: 인플레이션 공포가 몰고 온 미국 주식 시장의 그늘미국 소비자들의 심리가 또다시 바닥을 향하고 있습니다.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가 5월 예비 조사에서 50.8로 집계되면서,많은 경제 전문가와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원래 예상치는 53.5였는데, 그보다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이건 거의 사상 최저 수준이기도 합니다.특히 요즘처럼 미국주식 시장이 정책 이슈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할 때는,이런 지표 하나하나가 투자 결정을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겠습니다.오늘은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 심리 지표를 가지고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비자들의 걱정은 '관세'와 '물가'가장 주목할 포인트는 ‘왜 소비자 심리가 더 나빠졌는가’입니다.이번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7.. 2025. 5. 19.
양호했던 4월 CPI 보고서. 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미국 주식시장 양호했던 4월 CPI 보고서. 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미국 주식시장최근 발표된 4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 보고서, 다들 보셨나요? 미국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이런 경제 지표 하나하나가 주가 흐름에 직결되기 때문에 민감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의 핵심은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덜’ 올랐다는 건데요, 그렇다고 마냥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하나씩 쉽게 풀어볼게요. 4월 CPI 수치는 어땠나?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3%, 예상보다 낮았고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입니다.전월 대비 물가 상승률은 0.2%로, 3월의 -0.1% 하락에서 반등했지만 여전히 온화한 수준. 휘발유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근원 인플레..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