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 2 수학2

중 2 수학: 일차함수와 일차함수 그래프, 일차함수 기울기 ◈ 함수란 일차함수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전에 함수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함수는 일종의 수식입니다. 그 수식 안에는 x라는 변수가 들어있으며, x값을 대입하여 그 수식을 계산했을 때 나오는 수 y가 있습니다. x값에 따라 y값이 결정되는 수식을 함수라 부르며, y는 x의 함수라고 합니다. y=f(x)라고 표시하는데, 함수를 뜻하는 function에서 f를 가져와 표현했습니다. 처음 보는 표현이라고 어려워할 필요 없습니다. (a라는 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 b라면 b=f(a)라고 표시하고 b는 a의 함수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y와 x로 표시된 아래의 함수들은 모두 간략히 y=f(x)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y = 3x -1 y = 10(x - 1) y = 1/2x +1/3 ◈ 일차함수란 일차함.. 2021. 1. 25.
중 2 수학: 연립방정식. 연립방정식 푸는 법 ◈ 연립방정식이란 방정식이란 미지수가 있으며 미지수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는 등식입니다. 앞서 배운 방정식은 미지수가 한 개 밖에 없었지만, 우리는 아래와 같이 미지수가 두 개 또는 세 개인 방정식도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ax + by + c = 0 (단, a ≠ 0, b ≠ 0) ax + by + cz + d = 0 (단, a ≠ 0, b ≠ 0, c ≠ 0) 이렇듯 미지수가 여러 개인 방정식을 두 개 이상 나열한 것을 연립방정식이라고 합니다. 연립방정식에는 보통 방정식들을 묶어주는 표시 '{'가 있으며, 연립이라는 단어에서 연립방정식의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겠습니다. ◈ 연립방정식의 해 그렇다면 우리는 미지수가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인 방정식의 미지수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예를 .. 2021.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