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트럼프의 관세 정책, 더 큰 혼란을 유발할 뻔? (spur further disarray) | spur, disarray, shrug off 뜻과 뉴스 속 영어

by 요약남 2025. 4. 24.
반응형

트럼프의 관세 정책, 더 큰 혼란을 유발할 뻔? (spur further disarray) | spur, disarray뜻과 뉴스 속 영어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무역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금융시장이 유일하게 그를 물러서게 한 힘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어 원문에서 배울 수 있는 고급 표현 5가지와 함께 기사 요약, 한국어 번역, 그리고 관련 배경지식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Step 1: 고급 표현 5가지

① topple federal agencies

영영사전 정의: To overthrow or cause the downfall of established institutions or authorities.

한글 번역: 기존의 기관이나 권력을 전복시키다.


② spur further disarray

영영사전 정의: To cause more confusion, disorder, or chaos.

한글 번역: 더 큰 혼란이나 무질서를 일으키다.


③ scramble supply chains

영영사전 정의: To disrupt or disorganize the logistical systems of production and delivery.
한글 번역: 생산 및 유통 체계를 혼란에 빠뜨리다.


④ barometer of how things are going

영영사전 정의: A standard or indicator of current conditions or public sentiment.
한글 번역: 현재 상황이나 여론을 나타내는 지표.


⑤ shrug off the market plunge

영영사전 정의: To treat a significant market decline as unimportant or insignificant.
한글 번역: 시장 폭락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Step 2: 영문 기사 요약

Since returning to office, President Trump has tried to topple federal agencies, consolidate power, and reshape global trade. However, the stock market remains the only force that consistently challenges his policies. 

 

When his tariff hikes caused panic, he paused them to avoid spurring further disarray. CEOs of major retailers warned him that tariffs would scramble supply chains and raise prices.

Trump sees the market as a barometer of how things are going and monitors it closely. Despite that, he often shrugs off the market plunge, suggesting volatility is a necessary cost to fix the system.

Step 3: 영어 요약의 한국어 번역 


트럼프 대통령은 복귀 이후, 연방 기관들을 무너뜨리고(topple federal agencies) 권력을 집중시키며 전 세계 무역 질서를 재편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정책에 지속적으로 제동을 건 유일한 힘은 금융시장이었습니다.

관세 인상이 공포를 유발하자, 트럼프는 시장의 혼란을 더 자극하는 것 (spur further disarray)을 피하기 위해 조치를 중단했습니다. 유통업계 CEO들은 관세가 공급망을 혼란스럽게 만들고(scramble supply chains) 가격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트럼프는 시장을 바로미터(barometer of how things are going)로 간주하며 주의 깊게 지켜봅니다. 그럼에도 그는 종종 시장 폭락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shrug off the market plunge), 이를 체계 개혁을 위한 당연한 대가로 표현합니다.

 

Step 4: 배경 설명 – 왜 시장은 트럼프를 움직였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라는 명분 아래, 보호무역 정책과 고율 관세를 무기로 삼았습니다. 그의 목표는 미국 내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회복이었지만, 글로벌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이는 물가 상승과 시장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특히, 주식시장은 그의 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거센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 결과, 트럼프는 본인의 강경한 입장을 자주 철회해야 했고,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정책 결정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된 것입니다.

 

경제와 정치가 맞닿아 있는 이 지점에서, 우리는 시장을 단순한 숫자의 집합이 아닌, 국민 정서와 정책 성과의 가늠자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트럼프도 결국 이 신호를 무시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