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종합소득세 대상, 종합소득세 세율 및 계산방법

by 요약남 2020. 9. 20.
반응형

종합소득세란?

종합 소득은 종합소득이라 불리는 이자, 배당, 사업(부동산임대), 근로, 연금, 기타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누가 종합소득세를 내는가?

원칙적으로 모든 종합소득에 대해 과세되지만 아래와 같이 예외인 경우도 있다.

 

● 근로소득만 있어서, 연말소득 정산하는 경우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여기에 해당)

  *하지만 직장이 두 곳이상이라면 임금, 연금, 퇴직금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 사항이다.

직전과세 기간의 소득이 7500만원 미만인 보험, 방문판매원, 계약배달 판매원 등 소속회사에서 연말 정산 한 경우

퇴직소득과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비과세 ˙분리과세되는 소득만 있는 경우

연 300만원 이하인 기타소득이 있으면서 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 기간

신고 기간은 소득 발생한 해의 다음연도 5월 1일~ 5월 31일이며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5월 1일 ~ 6월 30일이다.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종합소득세는 '(종합소득금액 - 소득 공제) x 세율(6~ 42%) - 세액공제 세액감면 + 가산세 - 기납부액'의 산식을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종합소득에서 공제할 수 있는 것 있으면 공제하고, 산출 세액을 계산한 다음, 다시 추가로 낼 세금과 환급받아야 할 세금을 계산해서 최종 확정액을 산출한다.

 

종합소득세 세율과 적용 방법

세율은 과세표준에 곱한 후(과세표준 =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누진공제를 빼주면 된다.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세율이 누진 적용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를 하고 나니 30,000,000원의 과세표준액이 나왔다면, 3,420,000원이 산출 세액이 된다.

30,000,000원 x 15% - 1,080,000원 = 3,420,000원

*지금까지 종합소득세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복잡하고 예외적인 경우는 설명하지 않았으니, 실제로 종합소득세 신고와 납부를 진행할 경우 궁금한 점이 있다면, 꼭 세무사와 상담하기를 권유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