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란?
펀드란 쉽게 말해 여러 사람이 조금씩 모아 큰돈을 만들고, 경제나 투자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가 이 돈을 대신 투자해서,
처음 돈을 모았던 여러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배분해 주는 형식의 투자 방법을 말한다.
주변에서 펀드에 들었다, 펀드에 가입했다는 말을 들어봤을 텐데, 이는 자산운용사 같은 투자 전문회사에 투자 대행을 맡겼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왜 펀드를 이용할까?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비교
우리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Home Trading System)을 이용해서 직접 주식을 사고팔 수 있다. 주식 계좌를 개설하고 계좌를 개설한 회사의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면 HTS를 사용할 수 있다. 각 회사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 프로그램은 다양한 차트와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며, 이를 가이드 삼아 자신이 마음대로 직접투자할 수 있다.
펀드는 간접투자다.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종목을 내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금만 펀드에 넣어 놓으면 자산운용사가 알아서 주식 종목을 선택해서 매입한다. 또한 펀드는 투자 대상을 주식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채권, 부동산, 파생금융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한다.
직접투자는 거래 수수료가 저렴하지만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종목을 찾기 위해서 많은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십억 수백억 대의 자금을 보유한 개인은 드물기 때문에, 투자할 수 있는 종목의 수도 제한적이다.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는 거래비용이 비싸지만 자산운용 전문가가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 경험이 없는 개인이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수익이 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여러 종목과 분야에 투자가 가능해서 분산투자를 통한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투자 지식과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이거나, 잘 알지 못하는 상품이나 시장에 투자하는 경우 펀드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비교 | 장점 | 단점 |
직접투자 | 수수료 싸다 | 투자 지식과 경험 필요 투자 종목 수 제한적 |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 전문가가 대신 운용 여러 종목과 분야에 분산투자 위험 최소화 |
수수료 비싸다 |
펀드의 종류
펀드는 투자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펀드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중 가장 눈에 많이 띄는 것이,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MMF형, 부동산형 펀드이다.
각각의 특징은 아래와 같으며, 투자대상이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국내펀드와 해외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펀드 종류 | 특징 |
주식형 | 투자금의 대부분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수익율은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고수익 고위험인 만큼 위험선호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
채권형 | 투자금의 대부분을 채권에 투자. 수익율은 주식형 펀드보다 낮으나 그만큼 더 안전하다. 채권의 이자와 매매차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
혼합형 | 주식과 채권을 비율을 적절히 맞춰 수익과 안전을 꾀한다. |
MMF형 | 기업어음(CP)와 양도성예금증서(CD)등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 초단기로 자금을 운영하기에 적합하다. |
부동산형 | 말그대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금리 시대 투자해야 할까?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0) | 2020.09.24 |
---|---|
국제 금시세 예측투자 가능할까? 금시세와 이자율 및 달러의 관계 (0) | 2020.09.23 |
종합주가지수란? 주가지수의 종류: 코스피, 코스닥, KRX (0) | 2020.09.21 |
종합소득세 대상, 종합소득세 세율 및 계산방법 (0) | 2020.09.20 |
지역화폐 논쟁 정리: 이재명 도지사, 조세연, 윤희숙 의원 (0) | 2020.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