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코로나 돌파 감염, 백신 맞으면 마스크 벗나

by 요약남 2021. 6. 3.
반응형

코로나 돌파 감염, 백신 맞으면 마스크 벗나

1. 코로나 돌파 감염이란

돌파 감염이란 백신 최종 접종을 마치고 항체가 충분히 생겼음에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나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2차 접종까지 하고 2주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5월 31이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 돌파 감염자 수가 9명이 되었는데요. 돌파 감염자 수가 더 나와서는 안 되겠지만, 9명을 의미 있는 통계로 보고 돌파 감염에 대응하기에는 부족한 데이터입니다. 그렇다면 코로나 2차 백신 접종률이 40% 넘는 미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돌파 감염에 대한 좀 더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요?

 

2. 미국의 돌파 감염 상황

미국은 2021년 4월 30일 기준으로 총 10,262 건의 코로나 돌파 감염이 발생했습니다. 연령대는 만 40~74세에 분포해 있으며 평균 연령은 58세입니다. 63%에 달하는 6,446명이 여성 돌파 감염자로 남성보다 많은데요. 그렇다고 여성이 남성보다 돌파 감염에 쉽게 걸린다고 결론지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성의 접종 완료자 수가 남성보다 60%가량 많기 때문에 접종 완료자 성비가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봐야 합니다.

또한 돌파 감염자 중 2,725(27%)가 무증상 감염자였고, 995(10%) 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160(2%) 명이 사망했습니다. 돌파 감염 사망자의 평균 나이는 82세였으며(71~89세) 그중 28명은 무증상 감염이거나 코로나와는 관계없는 이유로 사망했습니다. 역시 연령이 많은 사람들일수록 치명률이 높습니다.

 

▼미국의 돌파 감염은 어떤 상황일까?▼

미국 돌파 감염 현황

 

▲미국의 돌파 감염 현황▲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이 형성한 면역을 회피하는가도 주 관심사일 텐데요, 555건의 시퀀스 데이터를 들여다본 결과,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돌파 감염이 356건(64%) 발생했다고 합니다. 또한 변이 바이러스별 돌파 감염 비율도 현재 미국에서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 비율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미국 CDC는 이전에도 집단 면역이 어느 정도 형성되기 전까지는 돌파 감염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며, 백신은 여전히 좋은 효과를 거두고 있고 돌파 감염은 백신 접종자 중 극히 일부에서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백신 접종으로 인해 감염을 예방하고 심각한 증상을 겪지 않는 사람 수가 돌파 감염되는 사람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 돌파 감염 어떻게 대응해야

백신 접종 완료 후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겠습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사실 모든 백신에는 돌파 감염이 발생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집단 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돌파 감염이 발생할 것이고, 연령이나 기저 질환에 따라 돌파 감염의 치명률이 올라갈 수 있으며 변이 바이러스가 많아지면 백신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론 백신을 맞으면 방역 지침의 강도가 완화될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방역수칙을 깡그리 무시해서도 안 되겠습니다.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는 마스크를 꼭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는 등 개인 방역에 신경을 써야 하겠습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고 해도 아직은 마스크를 벗을 때가 아니겠습니다.

<내용 참고: 미국 CDC>

+더 읽어볼 만한 이야기

 

어린이 백신 언제 쯤? 청소년 백신 접종 시 주의 사항

미국에서 지원한 얀센 백신 90만 개가 예약 시작 한지 18시간 만에 예약이 찼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오늘 기준 12.4%가 1차 접종을 마쳤으며, 최종 백신 접종률은 4.2%가 되었습니다. 의료 종사자

summarizor.tistory.com


돌파 감염 때문에 마스크를 벗으면 안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