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중1 수학: 소수, 합성수.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인 자연수

by 요약남 2020. 12. 31.
반응형

◈ 소수란?

수학에서 '소수'라고 불리는 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0.123 같이 소수점이 있는 수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볼,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눌 수 있는 자연수소수라고 부릅니다.

중1 수학: 소수, 합성수.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인 자연수


소수는 약수와 관련이 있다

소수와 합성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초등학교에서 배운 '약수와 배수' 내용을 먼저 떠올려 보겠습니다.
우리는, 만약 a라는 자연수를 b라는 자연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되었다면, b는 a의 약수이며 a는 b의 배수라고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 10 = 2 x 5이기 때문에 1, 2, 5 그리고 10이 10의 약수이며, 10은 1, 2 , 5, 10 모두의 배수가 됩니다.

중1 수학: 소수, 합성수.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뿐인 자연수


소수와 합성수

위에서 예시로 살펴본 자연수 10은 1, 2, 5, 10 이라는 네 개의 약수를 가지지만, 어떤 자연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약수가 두 개)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 3, 5, 7, 11 등이 있으며 이런 자연수들을 '소수'라고 부릅니다.
한편, 자연수 10처럼 세가지 이상의 약수를 가지는 수'합성수'라고 하며 소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수 찾는 방법

실제 시험에서 소수를 직접 찾는 문제나, 소수를 찾을 수 있어야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소수를 찾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소수 찾는 방법 1.
한 가지 방법으로는 주어진 자연수가 더 이상 나눠지지 못할 때까지 나눠 보는 것입니다. 16이라는 자연수는 2 x 8로 두 개의 자연수로 표현할 수 있지만 아직 더 나눌 수 있습니다.
2 × 2 ×4처럼 말이죠. 최종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형태는 2 × 2 × 2 × 2입니다.
이처럼 16은 자연수 2를 네 번 곱한 합성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수 찾는 방법 2.
다른 방법은 자연수를 나열해 놓고 그중에 소수의 배수를 지워나가는 방식입니다. 1은 소수가 아니므로 패스, 2는 소수, 3도 소수, 4는 소수인 2의 배수 이므로 ×, 5는 소수, 6은 소수 2와 3을 약수로 가지므로 ×, 7은 소수, 8은 소수 2를 약수로 가지므로 ×..
이런 식으로 찾는 겁니다.


 

소수, 합성수는 소인수분해를 배우기 위한 준비

지금까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과정에서 배우는 '소수와 합성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수는 이후에 배울 '소인수분해'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므로 꼭 숙지하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