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델타 변이의 강력한 전염력
'델타 변이'라는 별명이 붙은 인도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B.1.617.2)가 코로나 이전의 세계로 돌아가려는 우리들 앞에 새로운 장애물이 되어버렸습니다.
델타 변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염력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영국에서 처음 발생했던 '알파 변이 ( B.1.1.7)'도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높아 각국의 방역 당국을 긴장하게 만들었었는데, '델타 변이'는 알파 변이 보다도 40~50%가량 전염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미 델타 변이는 이미 우리나라를 포함, 세계 최소 60개 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 인천에서 29명의 집단 감염을 일으킨 코로나 바이러스도 델타 변이였습니다. 그리고 이 집단 감염의 최초 감염자는 전남에서 인천으로 올라온 사람으로 밝혀졌는데요, 질병관리청은 이를 근거로 이미 우리 지역 사회에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퍼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아래 광고 이 후 이야기 계속됩니다.
코로나 청정국이었던 베트남도 델타 변이의 피해국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최근 한 달 사이에 코로나 확진자 수가 급격하게 늘어났는데요. 베트남 보건 장관은 알파 변이와 델타 변이의 특성이 섞인 새로운 변이가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베트남 정부는 이 전염성이 강력한 새로운 변이가 최근 급속도로 발생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의 원인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수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국 연구 기관들에 따르면, 올해 초까지만 해도 코로나 확진자의 98%가 알파 변이에 의한 감염이었지만, 지난 3월 델타 변이가 영국에 들어오고 난 이후 현재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전체의 75%를 차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2. 델타 변이와 백신 효율
※ 델타 변이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AZ)/화이자 백신 효율
- 1회 접종 시, 모두 33%
- 2회 접종 시, 화이자 88% / AZ 60%
이처럼 어마 무시한 전염력이 있는 델타 변이에도 현재 나와있는 백신들이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바이러스 예방률과 비교하면 좀 떨어지는데요. 영국 Public Health England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나 또는 화이자 백신을 한 번 맞았을 때 알파 변이의 증상 감염 예방률은 50%이지만, 델타 변이로 인한 증상 감염 예방에 33% 효율을 가진다고 합니다. 백신을 두 번까지 모두 접종을 마치면 화이자는 효율이 88%까지 올라가고 아스트라제네카는 60%까지 올라갑니다.
3. 앞으로의 대책은
일부 전문가들은 델타 변이의 전염력과 면역 회피 능력을 고려했을 때, 수개월 안에 델타 변이가 전 세계에 퍼질 수도 있다고 예상합니다. 그렇게 되면 백신의 효율은 분명 떨어지게 되는데요. 영국 Covid-19 게놈 컨소시엄의 의장인 Sharon Peacock 박사는 델타 변이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확산을 차단하고 전 세계가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 말은 결국, 델타 변이에 백신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사실을 같이 생각해 본다면, 일부 국가 또는 개인이 백신 접종을 완료한다 하더라도 코로나 이전 시절로 완벽하게 돌아갈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예전처럼 자유롭게 세계 여행을 즐기거나, 마스크 없이 생활하는 것이 적어도 단기간 내에는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비록 우리나라도 백신 접종이 가속화되고 올해 안에 집단 면역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 사회에 델타 변이가 퍼져있는 만큼, 마스크를 쓰고 손 세정제로 손을 깨끗이 씻는 등의 개인 방역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용 참고: walstreet journal>
+ 더 읽어볼 만한 이야기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벌 체험 주의 사항. 갯벌에서 빠져나오는 방법 (0) | 2021.06.12 |
---|---|
심장에 안 좋은 습관. 지금 당장 금연하세요. (0) | 2021.06.11 |
단백질 부족 증상. 머리카락, 손톱, 피부 건강을 해치는 (0) | 2021.06.09 |
치매 예방하는 방법. 손상된 뇌는 다시 복구하기가... (0) | 2021.06.08 |
스트레스 해소법. 사랑하는 이들과 수다를 떨어보세요 (0)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