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자동차 제조업계가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바로 핵심 배터리를 자체 개발할 것인가 아니면 다른 회사에서 배터리를 구매할 것인가이다.
배터리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총비용 중 1/4~1/3을 차지하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하고 이윤을 극대화해야 하는 전기차 생산 업체의 입장에서 배터리 원가 절감은 매우 중요하며,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들은 주로 아시아에 몰려 있다. LG 화학, Panasonic 그리고 중국의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가 대표적인 전기차 배터리 제조 회사이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세계 모든 나라가 전기차 생산을 독려하는 상황에서 자동차 업계는 배터리 생산 공장 이슈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의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캘리포니아의 주정부는 2035년까지 가솔린차와 디젤차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히며 자동차 업계에 전기차를 만들라고 압박하고 있다.
테슬라는 몇 년 전 네바다 주에 Gigafactory를 열어 자신들의 공장에서 Panasonic이 배터리를 만들게 했다. 전기차 제조 회사는 자신들의 차 모델에 맞는 배터리를 개발하고 생산비와 운반비를 줄이기 위해 배터리를 직접 생산하 고자는 유인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직접 생산보다는 소싱을 통해 배터리를 확보하려고 한다.
테슬라는 Panasonic이나 다른 배터리 공급업체로부터 구매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신들의 차량에 맞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배터리 기술을 연구하고 생산능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일론 머스크가 말했듯이)
테슬라의 뒤를 이어, GM과 LG화학은 23억 달러를 투입해 3백만 평방 피트에 달하는 공장을 오하이오주 로즈타운에 건설했다. GM은 종국에는 매년 수십만 대에 들어갈 배터리 셀을 이곳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서는 폭스바겐이 비슷한 길을 밟고 있다. 약 10억 달러에 달하는 돈을 스웨덴의 배터리 스타트업 회사인 Northvolt AB에 투자했으며 독일 Slazgitter에 배터리 셀 공장을 짓기로 했다.
GM 운영진은 거래처에 의존하는 것에 위험이 있다고 판단, 비록 LG화학과 같이 하는 것이지만, 직접 배터리 셀을 생산하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운명을 우리가 컨트롤해야 한다. 생산시설을 자국으로 들여옴으로써 구매 원료를 컨트롤할 수 있다고 했다."라고 GM의 부사장인 Ken Morris 가 말했다.
하지만 생산시설을 짓는다는 것은 고정 비용이 발생함을 의미하며, 그렇다고 적시에 배터리 셀을 공급할 수 있다는 뜻도 아니다. 한때의 혁신이 금방 구식이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배터리 기술에 큰 투자를 해야 하는 것은 위험이 될 수 있다.
포드는 현재 직접 생산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우리는 여러 공급자들과 계약을 통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포드는 연구를 수행하고 생산시설을 세우는 자본집약적인 일을 배터리 재조사에 맡길 수 있다"
라고 Ford의 CEO인 Hau Thai-Tang가 말했다.
독일의 다임러는 두 가지 전략을 모두 사용한다. 다임러는 자회사를 통해 2015년까지 리튬 이온 전지를 만들었었다. 하지만 CEO인 Ola Källenius는 생산 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자금을 다른 데에 쓰는 것이 낫다고 판단, 중국 배터리 회사인 CATL 그리고 Farasis Energy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다임러는 236억 달러의 돈을 배터리 구매에 사용하지만 연구는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싱을 통한 배터리 수급은 새로운 자동차 모델들이 나오자 생산 체인에 문제가 발생시키기도 했다.
포드와 폭스바겐은 미래 전기차 모델들의 배터리 셀을 위해 SK 이노베이션과 계약을 했다. SK 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수요를 맞추기 위해 미국 조지아주에 공장을 차렸으나 기업 비밀에 대한 소송이 발생했고 새로운 모델 배터리 생산에 차질이 생겼다.
이렇듯 배터리를 직접 생산할 것인지 아니면 소싱을 통해 구입할 것인지에 대한 이슈를 놓고 여러 전기차 제조 업체들의 선택이 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에 관심이 있다면 놓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이슈가 되겠다.
내용 출처: 월스트리트 저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채권의 장점과 단점 (0) | 2020.10.08 |
---|---|
미국 시장 소식. 미국 닭고기 공급업체들 가격 담합으로 기소. Pilgrim's Pride 외 (0) | 2020.10.08 |
존리 처럼 투자하는 법. 저평가주식, 성장가능주식 찾아내기 (0) | 2020.10.04 |
바이든 관련주 수혜주. 바이든 대선 승리 시 클린 에너지 주식이 오를 것 (0) | 2020.10.03 |
주식담보대출 종류와 금리. 긴급자금이 필요한데 주식 팔기 아까울 때 (0) | 2020.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