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09 국경없는 기자회가 우종창씨의 석방을 요청한 이유(우리나라 세계언론자유지수 42위) 아래는 국경 없는 기자회(RSF)의 우종창 씨 석방 요청 관련 최초 성명 전문이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8월 29일에 성명을 정정하여 발표하였다. 정정된 성명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0/09/01 - [시사] - 국경없는 기자회 우종창 석방요구 성명 수정 한국의 기자이자 야당측의 정치평론가인 우종창 씨가 지난 7월 17일, 명예훼손죄로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다. 그는 현재 자신의 유튜브에서 인용된 정보원이 누군지 공개하길 거부한다는 이유로 구속 중이다. 그는 유튜브에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판이 음모로 얼룩져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내보냈다. 한국은 의회민주주의 국가로 전반적으로 자유를 중시하지만, 낡은 법 때문에 명예훼손으로도 감옥에 들어갈 수 있는 나라다. 국경 없는 기자회.. 2020. 8. 24. 중국 군사력 특정 분야에서 미국을 능가 South China Morning Post는 미국 상원 의회 연구 보고서('Emerging military technology: Background and Issue for congress')에서 인용된 내용을 보도하며, 인공지능과 퀀텀 컴퓨팅 같은 분야에서 중국이 미국을 따라 잡았다고 했다. 이 보고서는 미국이 선진 기술 분야에서 세계를 리드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AI 시장에서 중국은 강력한 경쟁자다. 최근 중국 AI 분야의 성과를 보면, 중국이 AI 기술을 응용하여 스파이 행위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중국의 한 회사는 자동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광고하기도 했다." "미국은 2023년 이전에는 극초음속 무기.. 2020. 8. 24. 시진핑 주석 방한 결정이 가지는 의미. 중국의 시점 8월 22일 중국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과 서훈 국가안보실장의 회담이 부산에서 열렸다. 청와대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이 수그러드는 대로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양국이 합의했다고 한다. 최근 가장 민감할 수 있는 주제 '현재 진행중인 중국과 미국의 분쟁'에 대해서 서훈 국가안보실장은 '중국과 미국의 공동 번영과 우호적 협력이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위한 핵심'이라고 했다 회담을 두고 중국의 관영매체인 신화통신은 시주석의 방한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 날 양국이 더 높은 수준의 교류를 약속했다고 전하며, 양제츠 위원은 이날 양국의 전략적 의사 소통과 경제적 연대가 더 발전하고 양국의 파트너십이 더 높은 수준에 이르길 바란다고 했다.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 Cheng Xiaohe는 "한.. 2020. 8. 23. 정부는 왜 의대 정원을 확대하려는가? 의료계, 의사 파업의 이유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부는 현재 3,058명인 의대 정원을 2022학년도부터 최대 400명 늘려, 10년 동안 유지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10년 간 총 4천 명의 정원이 늘어나게 되며, 이렇게 확충된 인력은 의사가 부족한 지방, 특수 전문분야, 의과학 분야에 종사하도록 한다는 것이 정부 의대 정원 확대의 주요 내용이다. 이에 의료계는 파업을 강행하며 반발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부는 왜 의대 정원을 확대하려는 것일까? 그리고 의료계는 왜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는 것일까? 정부의 주장, 왜 늘려야 하는가? 현재 우리나라 의사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의사면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13만 명이지만, 실제 의료 활동하고 있는 의사 수는 10만 명 정도이며 OECD 평균(약 16만 명) 보다 낮은 수준이다.. 2020. 8. 22. 이전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