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20

중 1 수학: 일차방정식. 일차방정식 문제 풀이 방법 ◈ 일차방정식이란? 일차방정식이란 미지수의 차수가 1인 방정식을 말합니다. 수학에서 미지수는 일반적으로 x, y, z로 표현하지만, 아무 기호나 문자로 표현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우리는 x라는 문자를 방정식의 미지수로 가장 많이 사용할 뿐입니다. 미지수의 차수가 1이라는 의미는, 처럼 미지수 x의 지수가 1이라는 의미입니다. 지수가 2가 되면 이차방정식이 되고, 지수가 3이 되면 삼차방정식이 됩니다. 이차방정식과 삼차방정식은 학년이 올라가면 자세하게 배울 예정이니, 아직은 몰라도 됩니다. 그래서 일차방정식은 보통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ax +b = 0 일차인 지수가 있고 등호가 있는 등식이지요. a와 b는 상수라고 부르며, 이 때 상수 a는 반드시 0이 아니어야 합니다. 상수 a = 0이면 미지.. 2021. 1. 14.
중 1 수학: 방정식이란? 등식, 미지수 그리고 방정식의 해, 근 ◈ 중 1 수학: 방정식이란? 방정식이란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는 등식으로, 미지수의 값에 따라 등식이 참이 될 수도, 거짓이 될 수도 있는 등식입니다. 등식이란 '='(등호)가 들어있는 식을 말합니다. 가령 '1+1=2' 같은 식을 말하지요. 등식에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x+3=5'처럼요. 등호(=)가 들어있는 '1+1=2', 'x+3=5' 모두 등식입니다. 미지수란 x처럼 값이 정해지지 않은, x에 어떤 수든지 대입할 수 있는, 변할 수 있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위 식 'x+3=5'에서, x에 2를 대입하면, 식이 맞아떨어집니다. 참인 등식이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x에 2가 아닌 다른 수를 대입하면, 식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거짓인 등식이 됩니다. 비슷하게 생겼지만, '1+1 2021. 1. 12.
중학교 2학년 수학: 순환소수.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방법 ◈ 소수의 종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학교 2학년 수학에서 다루는 순환소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하지만 그전에, 이전에 배웠던 기억을 되살려, 소수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수에는 유한소수와 무한소수가 있으며, 무한소수에는 순환소수와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가 있습니다. 분류에 대한 이해는 아래 그림을 살펴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순환소수란? 그렇다면 다시 순환소수로 돌아와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환소수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순환하는 소수라는 뜻입니다. 무엇이 순환하느냐? 예를 들어, 0.33333..... 이라는 소수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부터 3이라는 숫자가 반복되고 있지요? 0.123123123...이라는 소수는 소수점 첫째 자리서.. 2021. 1. 8.
중 1 수학: 최대공약수 구하는 법, 최소공배수 구하는 법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알아보기 전에. 중1 수학: 소인수분해와 소인수분해방법 우리는 소인수분해와 소인수분해 방법을 알기 위해 앞서 소수에 대해 배웠습니다. 소인수분해라는 용어의 뜻이 선뜻 이해하기 힘들 수 있겠는데요. 소인수란 무엇이며 소인수분해는 또 무슨 뜻 summarizor.tistory.com ◈ 공약수란? 우리는 이미 약수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약수는 어떤 정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0이 아닌 정수를 의미합니다. (6÷3=2, 나머지 0 이므로 3은 6의 약수입니다.) 그렇다면 공약수란 무엇일까요? 여러 개의 정수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약수를 공약수라고 합니다. 빠른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의 약수는 1, 2, 5, 10이며 5의 약수는 1, 5입니다. 10과 5가 공통으로.. 2021. 1. 7.